'2010/08'에 해당되는 글 6건
- 2010.08.16 [CPU] 2010-08-16 모바일 CPU 스펙
- 2010.08.16 [Android] 기본 개발환경 설정
- 2010.08.09 [CentOS] Apache 사용자별 홈 폴더
- 2010.08.09 [CentOS] CentOS Telnet, vsftpd 권한설정
- 2010.08.04 [MS] 윈도우7 Ramdisk를 ReadyBoost장치로 활용하기 1
- 2010.08.04 [Java] 환경변수 설정...
2010. 8. 16. 14:13
2010. 8. 16. 14:06
[사전 준비]
- JDK 1.6.0_20 또는 상위버젼 설치
- 이클립스 GALILEO 버젼 설치 (HELIOUS는 알려진 문제점이 있다함)
1. 이클립스 안드로이드 개발환경 설치
이클립스 실행
Help -> Install New Software
2. 안드로이드 SDK 설치
안드로이드 SDK 다운로드
http://developer.android.com/sdk/index.html
Windows 용을 다운받은뒤 적절한 폴더에 설치를 해줍니다.
D:\develop\android-sdk
(저는 여기다가 풀었습니다)
윈도우 환경설정 부분에 PATH 설정에 아래와 같이 추가합니다
D:\develop\android-sdk\tools
(안드로이드 SDK 설치경로 안에 tools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다음으로 이클립스 실행한 다음
Windows -> Preferences 를 들어갑니다
상단에 표시된 부분에 보면 Android SDK and AVD Manager 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셨으면 기본적인 설정은 대략 끝난겁니다.
이제 안드로이드 개발 진행 들어가면 됩니다
교육센터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기억나는대로 작성한것인데 혹시 중간에서 안되는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2010. 8. 9. 22:06
gedit /etc/httpd/conf/httpd.conf
-> UserDir disable 를 앞에 # 붙여서 주석처리하고 다음 라인에
-> UserDir public_html 을 작성 후 저장
/etc/init.d/httpd restart
재시작 후 확인
사용자 haebi 를 예로 들면
/home/haebi/public_html 의 폴더 안에 index.html 이 존재 해야 함
권한 관련 하여 되지 않을 경우는
/home 폴더의 권한을 705 이상으로 설정 필요
브라우저 접근 예시...
사용자 계정이 haebi 인 경우
http://192.168.0.200/~haebi 와 같은 경로로 접근 가능하다
자료 참고 주소
http://minarae7.tistory.com/105
2010. 8. 9. 21:59
사용된 리눅스 버젼 : CentOS 5.5
[권한 설정]
목적 : ROOT를 제외한 모든 계정이 자신의 홈폴더를 벗어나서 조회 불가능하게 하기 위함
효과 : ls 등의 커맨드가 막힘
권한 : *rwx--x--x (711)
chmod 711 폴더명
대상폴더
/ 에 존재하는 root와 tmp 폴더 제외 하고 전부
(별도로 확인이 필요)
관련정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302&docId=105790969&qb=Q2VudG9zIHZzRlRQZCDsg4HsnIQg65SU66CJ7Yag66asIOq2jO2VnA==&enc=utf8§ion=kin&rank=2&sort=0&spq=0&pid=ga/sAz331xossaGjjchssv--096415&sid=TF@2eXuZX0wAAEKGQRE
[Telnet Server]
yum install telnet-server
gedit /etc/xinetd.d/telnet
-> disable = no 로 수정
etc/init.d/xinetd restart
재시작 하고 확인
[vsftpd]
gedit /etc/vsftpd/vsftpd.conf
-> chroot_local_user=YES 를 제일 밑에 한줄 작성하고 저장
/etc/init.d/vsftpd restart
재시작 하고 확인
[권한 설정]
목적 : ROOT를 제외한 모든 계정이 자신의 홈폴더를 벗어나서 조회 불가능하게 하기 위함
효과 : ls 등의 커맨드가 막힘
권한 : *rwx--x--x (711)
chmod 711 폴더명
대상폴더
/ 에 존재하는 root와 tmp 폴더 제외 하고 전부
(별도로 확인이 필요)
관련정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302&docId=105790969&qb=Q2VudG9zIHZzRlRQZCDsg4HsnIQg65SU66CJ7Yag66asIOq2jO2VnA==&enc=utf8§ion=kin&rank=2&sort=0&spq=0&pid=ga/sAz331xossaGjjchssv--096415&sid=TF@2eXuZX0wAAEKGQRE
[Telnet Server]
yum install telnet-server
gedit /etc/xinetd.d/telnet
-> disable = no 로 수정
etc/init.d/xinetd restart
재시작 하고 확인
[vsftpd]
gedit /etc/vsftpd/vsftpd.conf
-> chroot_local_user=YES 를 제일 밑에 한줄 작성하고 저장
/etc/init.d/vsftpd restart
재시작 하고 확인
2010. 8. 4. 21:24
이 글은 시스템에 메모리가 4기가 이고, 현재 윈도우 7 or Vista 32비트 사용자 분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먼저 짚고 넘어갈 것이 4기가 활용을 위해, PAE 옵션 활성화를 시켜야 하는데 이것이 물리주소확장 이란 것으로써, 메모리 주소 테이블을 2중으로 거쳐가면서 약간의 성능하락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부팅 직후, ReadyBoost 캐쉬 생성 작업으로 인하여 캐쉬 생성 중에는 속도가 좀 느릴 수 있습니다.
HDD 억세스 횟수를 줄이는 쪽에서 볼 때 이론적으로는 약간의 성능향상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64비트 버젼 사용자 및, 3기가 이하 사용자분들께는 단지 램의 일부분을 레디부스트로 할당하는 정도가 가능합니다만, 메인 메모리를 줄여서 레디부스트로 활용하는것에 대한 효율은 저로써는 판단하기 힘드네요...
시스템에 설치된 램이 4기가 이상이면서, 32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하게 되면 3기가 까지 밖에 사용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32비트로 인한 메모리 주소 공간의 문제 입니다만, 이것을 OS에서 잡지 못하는 이 1GB를 램디스크로 끌어낸 다음, 이것을 레디부스트로 활용하여 보자는 것이 이 글의 취지 입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없는 정보는 하드디스크의 가상메모리에서 참조하게 되는데
RAM -> HDD(VirtualMemory)
이것을 ReadyBoost 캐쉬를 설정함으로써, 중간에서 한번더 찾은다음 여기에 없을때 가상메모리 즉, 하드디스크 에서 데이터를 찾게 됩니다. 즉, HDD 억세스 횟수가 줄어들겠지요.
RAM -> RAM(ReadyBoost) -> HDD(VirtualMemory)
USB를 이용한 레디부스트 보다 실제 RAM을 레디부스트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속도 차이는 확연합니다.
RAM의 일부를 RamDisk 로 만들어 주는 유틸리티 중에서 SuperSpeed LLC 에서 만든 Ramdisk Plus 10.0 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뒤에 반드시 Plus 확인해 주세요 그냥 Ramdisk 아닙니다. (아이콘 이름은 그냥 무시무시-_-)
상용프로그램이며 관련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http://superspeed.com/desktop/ramdisk.php
-------------------------------------------------------------------------------------------
여기 부터의 내용은 윈도우7 , Vista, 64비트 사용자 또는 램 3기가 이하 유저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하단에 Unmanaged 메모리 활성화 시키는 것이 끝나는 부분부터 하시면 됩니다.
-------------------------------------------------------------------------------------------
* Unmanaged 메모리 활성화 시키기
3기가 윗 부분의 상위 1기가 영역 접근을 위해서 PAE 옵션을 활성화 시킵니다.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라는 문구가 뜨면 완료 입니다.
반도체 모양의 아이콘 누르면 아래 창이 뜹니다.
Unmanaged 버튼을 누르면 하단의 창이 뜹니다.
Unmanaged memory was succfully activated 라는 메시지가 뜨면 성공입니다.
비 관리 : 1024 MB
전체 : 3919 MB
라고 표시됩니다.
여기서 비 관리 메모리 사이즈를 확인해 주시구요... (여기서는 1024 MB)
-------------------------------------------------------------------------------------------
Unmanaged 메모리 활성화 시키는 것은 여기까지 입니다. 하단의 내용은 공통적인 부분입니다.
-------------------------------------------------------------------------------------------
* 램 디스크 생성
비 관리 영역이 있는 경우, 비 관리 영역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되, 비 관리 영역 이상의 사이즈가 입력되면 해당 부분은 시스템 메모리에서 실제 윈도우가 관리하는 영역에서 끌어오므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메모리가 줄어들게 됩니다.
비 관리 영역이 없는 경우, 윈도우 관리하의 메모리를 바로 끌어오므로 역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는 줄어 들게 됩니다.
체크 후 다음 을 누릅니다.
임의로 지정하시고, 다음 누릅니다.
다음 눌러서 진행합니다.
체크를 하게되면 시스템 종료 시 램디스크의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덤프 해 두었다가, 다시 램 디스크 생성시 이 내용을 그대로 로딩하게 되는데, 제가 써본 바에 의하면 종료할때 시간 한참걸리는 관례로 비추천 입니다.
또한 부팅 직후 그 이미지 다시 로딩해서 넣게 되는데 차라리 캐쉬를 새로 생성하는 편이 낫겠더라구요. 어쨋든 이 기능 저는 비추합니다.
다음 눌러서 진행합니다.
이제 내 컴퓨터 가셔서 레디부스트 설정 진행하시면 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__)
혹시 나 해서 뒷 부분 마저 올려 드려요
* 램디스크 설정
이제 내컴퓨터로 가서 램디스크 설정을 시작합니다.
이 장치를 ReadyBoost 전용으로 사용을 선택 후 확인을 누릅니다.
이렇게 ReadyBoost 파일이 생성되면 성공입니다.
사진 캡쳐 내용대로 따라 했다면 재부팅 후에 자동으로 레디부스트 캐쉬를 다시 생성합니다.
캐쉬 생성하는 동안 약간 느릴수 있으나, 캐쉬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확실히 좀 빨라진 느낌이 나는듯 하네요
2010. 8. 4. 20:53
PATH 추가
C:\Java\jdk1.6.0_21\bin
내 컴퓨터(우클릭) -> 속성 -> 고급 시스템설정 -> 고급 탭 선택 -> 환경변수
(윈도우7 기준... XP나 기타 운영체제에서는 약간 다를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이 설치한 환경에 맞도록...)
2. PATH 설정
제일 뒤에 ; (세미콜론) 붙이고
%JAVA_HOME%\Bin 을 추가 합니다.
3. 테스트
java -version
javac -version
각각 위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 환경설정은 완료된 것입니다.
똑같이 했는데도 안되는 경우, 기존의 cmd 창을 닫고 다시 cmd 창을 열어서 해보시기 바랍니다.
(환경설정 이전에 미리 열려진 cmd 창에서는 이전의 환경변수가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