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5. 25. 14:26

 이번에는 아~~주 복잡한 패스워 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그래봤자 그냥 임의로 나열하는 문자열 되겠습니다 만은...)

CRP(Create Random Passwords) 입니다.
랜덤한 패스워드 생성? 정도가 되겠네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Net framework 2.0 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소스코드는 압축파일내에 들어있으며, 주석까지 달려 있어서 이해하는데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구동설명]

1. 랜덤함수로 임의의 숫자를 생성한다음

2. 그 숫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문자를 출력하도록 하였습니다.

3. 문자는 아스키 코드값을 그에 해당하는 문자출력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주석이 포함된 소스코드 및 실행파일]





Posted by 해비
2010. 5. 24. 18:37

하단의 내용은 Windows 2003 에서 테스트 한 내용입니다만 NT계열이면 다 될듯 싶네요...;;


CMD쉘 상태에서 프로세스 목록 보는법과 강제종료 하는 법 입니다.

[프로세스 목록보기]
tasklist

 

 

[프로세스 죽이기(강제종료)]
taskkill -f -im [프로세스명]
ex) taskkill -f -im explorer.exe

성공하면 사진처럼 종료되었습니다. 메시지 가 뜹니다.
예제 처럼 explorer.exe 강종시키면 시작표시줄 사라져 버립니다 ㅋㅋㅋ
(콘솔창에서 explorer 타이핑 하고 엔터키 눌러 주시면 다시 생겨 납니다.)


-f -im  스위치를 주는 이유는...
강제종료를 하되, 프로세스 이름으로 종료시키겠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하단에 자세한 설명 첨부합니다.

taskkill/? 하면 나오는 설명글입니다.
=================================================================================
TASKKILL [/S 시스템 [/U 사용자 이름 [/P [암호]]]]
         { [/FI 필터] [/PID 프로세스 id | /IM 이미지 이름] } [/T] [/F]

설명:
    이 도구는 프로세스 ID(PID) 또는 이미지 이름으로 작업을 종료하는 데
    사용합니다.

매개 변수 목록:
    /S    시스템           연결할 원격 시스템을 지정합니다.

    /U    [domain\]user    명령을 실행해야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지정합니다.

    /P    [암호]           해당 사용자 컨텍스트의 암호를 지정합니다.
                           생략한 경우에는 물어봅니다.

    /FI   필터             작업 집합을 선택하는 필터를 적용합니다.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imagename eq acme*

    /PID  프로세스_ID      종료할 프로세스의 PID를 지정합니다.
                           TaskList를 사용하여 PID를 얻을 수 있습니다.

    /IM   이미지 이름      종료할 프로세스의 이미지 이름을
                           지정합니다. 와일드카드 문자 '*'를 사용하여
                           모든 작업 또는 이미지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T                     지정된 프로세스와 그 프로세스로부터 시작된
                           모든 자식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F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도록 지정합니다.

    /?                     이 도움말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필터:
    필터 이름     유효한 연산자             유효한 값
    -----------   ---------------           -------------------------
    STATUS        eq, ne                    RUNNING |
                                            NOT RESPONDING | UNKNOWN
    IMAGENAME     eq, ne                    이미지 이름
    PID           eq, ne, gt, lt, ge, le    PID 값
    SESSION       eq, ne, gt, lt, ge, le    세션 번호.
    CPUTIME       eq, ne, gt, lt, ge, le    CPU 시간 형식
                                            hh:mm:ss
                                            hh - 시간,
                                            mm - 분, ss - 초
    MEMUSAGE      eq, ne, gt, lt, ge, le    메모리 사용(KB)
    USERNAME      eq, ne                    사용자 이름([domain\]user
                                            형식)
    MODULES       eq, ne                    DLL 이름
    SERVICES      eq, ne                    서비스 이름
    WINDOWTITLE   eq, ne                    창 제목

    참고
    ----
    1) /IM 스위치에 대한 와일드카드 문자 '*'는 필터가 적용될 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원격 프로세스는 항상 강제적으로(/F) 종료될 수 있습니다.
    3) 원격 컴퓨터가 지정되면 "WINDOWTITLE"  및 "STATUS" 필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예:
    TASKKILL /IM notepad.exe
    TASKKILL /PID 1230 /PID 1241 /PID 1253 /T
    TASKKILL /F /IM cmd.exe /T
    TASKKILL /F /FI "PID ge 1000" /FI "WINDOWTITLE ne untitle*"
    TASKKILL /F /FI "USERNAME eq NT AUTHORITY\SYSTEM" /IM notepad.exe
    TASKKILL /S 시스템 /U domain\username /FI "USERNAME ne NT*" /IM *
    TASKKILL /S 시스템 /U 사용자 이름 /P 암호 /FI "IMAGENAME eq note*"
=================================================================================


Posted by 해비
2010. 5. 15. 02:19

Memento SDHC 16GB Class 6 입니다.

동급의 SDHC 카드 중 나름 저렴한 가격에 팔고 있길래 한번 구매해봤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리더기인 Transcend 의 TS-RDP8 입니다.



테스트 환경
CPU : Intel Core 2 Duo T7300 (2.0Ghz)
RAM : Samsung DDR2 533Mhz So-Dimm 2G x2 (4G)
HDD : Samsung HM16HJI (256MB NAND Flash)
VGA : nVidia Geforce 8600M GS
O/S : Windows 7
Reader : Transcend TS-RDP8


FAT32 포맷 후 디스크 용량 확인



1. 유명한 ATTO Disk Benchmark 입니다.
쓰기 속도와 읽기 속도를 볼수 있습니다만... 어찌된게 이건 쓰기속도가 더 나오는군요;;



2. HD Tune 입니다.
최대, 최소, 평균 전송률과 액세스타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전체 Block 검사



4. 그리고 용량 확인하는 프로그램 (H2testw) 입니다.
과거에 용량 속이는 가짜USB 메모리 탐지해내기 위한 용도라는군요...
디스크 전체 영역을 쓰고, 유효성 검사를 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실제로 데이터 검증 테스트에서 쓰기속도 14.8MB/s, 읽기속도 18.2MB/s 나왔네요...

Posted by 해비
2010. 5. 11. 21:22
좀 오래된 노트북이 발열이 심해서 쿨러를 하나 장만해 보았다.

발열이 심해서 그런지  증상으로 봐서는 GPU고장으로 추정되지만...;;
일단 보드가 고장나서 A/S 맏겼더니 무상으로 서비스를 해주더군요.. 보드는 3년 이라믄서..

그래서 좀 괞찬은 쿨러 있나 하고 살펴보다가 눈에 띈것이 잘만 ZM NC-2000 !!

평소에 노트북쿨러 보고 별 효과 있으려나? 라고 생각만 하다가 일단 써보자... 라는 생각에 구매 ㄱㄱ 해서  도착한것이 아래사진...

도착직후



포장지 벗겨낸 모습



꺼낸 내용물들... 받침대와 USB연결선... 설명서(종이 1장 구깃구깃 접어놓은...



노트북 얹어 놓은 모습...







15.4" 노트북 얹어놓은 모습... 약간 여백이 남는것으로 봐서는 17인치급도 올려도 될거 같군요

실제로 열이 많이나는 통풍구 쪽 위에 살짝 만져 봤는데 조금 열이 내려간 느낌입니다.

최저 RPM 상태로 두고 쓰는데 노트북 팬 소음에 묻혀서 아주 조용~ 합니다.

RPM높이면 쿨링효과는 더 높아지겠지만, 휘~~잉 하는 소리가 나긴 함니다 ㅎㅎㅎ


Posted by 해비
2010. 5. 9. 23:48
- 하단의 설명은 윈도우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입력하면 됩니다.

[설정]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mtu=576 store=persistent

[기본 값]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mtu=1500 store=persistent

입력 후 "확인됨" 이라는 메시지가 뜨면 성공한 것입니다.

"로컬 영역 연결" 이라는 부분은 네트워크 장치 이름 입니다.

확인 하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all 를 입력하면 나옵니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이 어댑터 이름입니다.
(노트북이라 "무선 네트워크 연결" 까지 나오는군요;;)



상단의 MTU 설정 값이 576으로 지정하는것은 인터넷 상에서의 표준 MTU 라고 하네요
관련 내용[링크]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1&docId=68448573&qb=bXR1IDU3Ng==&enc=utf8&section=kin&rank=1&sort=0&spq=0&pid=f%2Bk4Yv331xlssuMAUvGssv--006650&sid=S@bA@6h65ksAACPXg@8

이더넷 표준 : 1500
설정 가능한 최소 수치 : 68

MTU(Maximum Transper Unit)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패킷 크기를 얼마나 해서 보낼것인가 에 대한 설정입니다.
숫자가 크면 한번에 많이 보내겠다는것이고, 숫자가 작으면 한번에 작게 작게 보내겠다는 것이겠죠

여기에 장단점이 존재 하게 됩니다.

패킷을 많이자르게 되면 전송 량이 작으므로 반응속도가 빨라질수 있겠지만, 해당 패킷마다 앞 부분과 뒷부분에 헤더 관련 내용이 증가함으로서 속도가 저하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게 잡는다 하더라도 목적지 서버 컴퓨터 까지 갔다오는 과정에 중간 라우터에서 큰 MTU 값을 처리 하지 못하면 역시 쪼개져서 갔다가 오게 되므로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게 좋을 것입니다.




Posted by 해비
2010. 5. 9. 22:23
- 하단의 설명은 윈도우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패스워드 없이 자동로그인 편리해서 설정하여 사용중에 장시간 자리를 비웠다가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는 이때 계정의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 하는 겨우가 있다는 거죠...

자동로그인에 의존해서 쓰다보면 본인의 패스워드가 뭐였는지 기억이 잘 안날때도 있고, 여튼 이것도 귀찮으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리라 봅니다^^


1. 시작 -> 제어판 -> 전원옵션 에 들어갑니다.

2. 전원 옵션 창이 뜨는데 왼쪽 상단의 절전모드 해제 시 암호 사용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또 뜹니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암호 보호 사용(권장) 에 선택이 되어져 있을거라 봅니다.

어쨋든 여기서 하단에 표시해둔 암호 보호를 사용하지 않음 을 선택하고 변경 내용 저장 하시면 이제 부터는 대기모드에서 진입하더라도 패스워드 묻지 않고 바로 바탕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Posted by 해비
2010. 5. 9. 22:04

로그인 할때 마다 일일이 패스워드 치기가 귀찮을때 설정해두면 참 편리합니다.
- 참고 : 이 설명은 윈도우7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시작 버튼 눌러서 하단에 cmd 입력하고 엔터키를 타이핑 합니다



2. 이제 시커먼 도스 명령어 창이 떳는데요 여기다가 control userpasswords2 를 입력하고 엔터키!



3. 아래 창이 뜰텐데요...

사진에 표시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부분의 체크를 해제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 줍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로그인 할 계정과 비밀번호를 넣으라고 뜹니다.

여기에 계정명과 비밀번호 넣고 확인 눌러서 종료하면 다음 부터는 자동으로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하게 됩니다.
-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 그냥 공란으로 두면 됩니다.




Posted by 해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