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09'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0.05.09 [MS] netsh를 이용한 MTU 값 설정 3
  2. 2010.05.09 [MS] 절전모드 해제 시 암호 사용
  3. 2010.05.09 [MS] 윈도우 자동로그인 2
2010. 5. 9. 23:48
- 하단의 설명은 윈도우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입력하면 됩니다.

[설정]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mtu=576 store=persistent

[기본 값]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mtu=1500 store=persistent

입력 후 "확인됨" 이라는 메시지가 뜨면 성공한 것입니다.

"로컬 영역 연결" 이라는 부분은 네트워크 장치 이름 입니다.

확인 하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all 를 입력하면 나옵니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이 어댑터 이름입니다.
(노트북이라 "무선 네트워크 연결" 까지 나오는군요;;)



상단의 MTU 설정 값이 576으로 지정하는것은 인터넷 상에서의 표준 MTU 라고 하네요
관련 내용[링크]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1&docId=68448573&qb=bXR1IDU3Ng==&enc=utf8&section=kin&rank=1&sort=0&spq=0&pid=f%2Bk4Yv331xlssuMAUvGssv--006650&sid=S@bA@6h65ksAACPXg@8

이더넷 표준 : 1500
설정 가능한 최소 수치 : 68

MTU(Maximum Transper Unit)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패킷 크기를 얼마나 해서 보낼것인가 에 대한 설정입니다.
숫자가 크면 한번에 많이 보내겠다는것이고, 숫자가 작으면 한번에 작게 작게 보내겠다는 것이겠죠

여기에 장단점이 존재 하게 됩니다.

패킷을 많이자르게 되면 전송 량이 작으므로 반응속도가 빨라질수 있겠지만, 해당 패킷마다 앞 부분과 뒷부분에 헤더 관련 내용이 증가함으로서 속도가 저하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게 잡는다 하더라도 목적지 서버 컴퓨터 까지 갔다오는 과정에 중간 라우터에서 큰 MTU 값을 처리 하지 못하면 역시 쪼개져서 갔다가 오게 되므로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게 좋을 것입니다.




Posted by 해비
2010. 5. 9. 22:23
- 하단의 설명은 윈도우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패스워드 없이 자동로그인 편리해서 설정하여 사용중에 장시간 자리를 비웠다가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는 이때 계정의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 하는 겨우가 있다는 거죠...

자동로그인에 의존해서 쓰다보면 본인의 패스워드가 뭐였는지 기억이 잘 안날때도 있고, 여튼 이것도 귀찮으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리라 봅니다^^


1. 시작 -> 제어판 -> 전원옵션 에 들어갑니다.

2. 전원 옵션 창이 뜨는데 왼쪽 상단의 절전모드 해제 시 암호 사용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또 뜹니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암호 보호 사용(권장) 에 선택이 되어져 있을거라 봅니다.

어쨋든 여기서 하단에 표시해둔 암호 보호를 사용하지 않음 을 선택하고 변경 내용 저장 하시면 이제 부터는 대기모드에서 진입하더라도 패스워드 묻지 않고 바로 바탕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Posted by 해비
2010. 5. 9. 22:04

로그인 할때 마다 일일이 패스워드 치기가 귀찮을때 설정해두면 참 편리합니다.
- 참고 : 이 설명은 윈도우7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시작 버튼 눌러서 하단에 cmd 입력하고 엔터키를 타이핑 합니다



2. 이제 시커먼 도스 명령어 창이 떳는데요 여기다가 control userpasswords2 를 입력하고 엔터키!



3. 아래 창이 뜰텐데요...

사진에 표시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부분의 체크를 해제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 줍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로그인 할 계정과 비밀번호를 넣으라고 뜹니다.

여기에 계정명과 비밀번호 넣고 확인 눌러서 종료하면 다음 부터는 자동으로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하게 됩니다.
-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 그냥 공란으로 두면 됩니다.




Posted by 해비